맨위로가기

후량 (남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량은 남북조 시대에 양나라 황족 소찰이 서위의 지원을 받아 건국한 국가이다. 후경의 난 이후 양나라 황족 간의 분열 속에서 소찰은 서위와 연합하여 강릉을 중심으로 세력을 구축했다. 554년 서위가 강릉을 공격하여 원제를 죽이고 소찰을 황제로 옹립하면서 후량이 건국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서위의 괴뢰 정권에 가까웠다. 후량은 북주, 수나라 때까지 존속하며 양나라의 문화를 계승했고, 587년 수 문제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 (남조) - 후경의 난
    후경의 난은 548년에서 552년 사이 후경이 양 무제를 배반하고 일으킨 반란으로, 건강 함락과 양 무제 사망 등 양나라에 큰 혼란을 야기하며 강남 사회를 황폐화시키고 남조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양 (남조) - 소의 (남제)
    소의는 남제 시대의 장수로, 여러 관직을 거쳐 북위의 침입을 막는 공을 세웠지만 모함으로 억울하게 죽임을 당해 소연이 거병하는 계기가 되었고 사후 승상으로 추증되었다.
  • 남조 (중국) - 남제
    남제는 소도성이 유송으로부터 선양받아 건국한 남조 시대의 왕조로, 고제와 무제 시대에는 안정적인 통치를 보였으나 황족 간의 권력 다툼과 폭정으로 혼란해져 소연에 의해 멸망했다.
  • 남조 (중국) - 양 (남조)
    남조 시대의 왕조인 양은 소연이 남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하여 무제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후경의 난으로 쇠퇴, 진패선에게 선양되어 멸망 후 후량으로 분열되었다.
  • 남북조 시대 - 서위
    서위는 535년 우문태가 북위 효무제를 독살하고 원보거를 옹립하여 건국되었으며, 우문태 사후 우문각이 북주를 건국하면서 멸망한, 짧은 기간 존재했던 북조 왕조로, 불교 미술의 융성기를 이루었으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다.
  • 남북조 시대 - 옥대신영
    옥대신영은 약 115명의 시인(여성 시인 14명 포함)의 시를 모은 중국 시집으로, 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며 다양한 시대의 작품을 포함하고, 창작 배경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여러 판본을 통해 전해 내려오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 및 연구되고 있다.
후량 (남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국어 표기후량, 서량
공식 명칭양 (梁)
통칭서량(西梁), 후량(後梁)
정치 체제군주제
존속 기간555년 ~ 587년
건국 시기555년
멸망 시기587년
이전 국가양나라
다음 국가수나라
수도강릉
역대 황제
초대 황제선제 (555년 ~ 562년)
2대 황제명제 (562년 ~ 585년)
마지막 황제후주 (585년 ~ 587년)
역사
주요 사건서위의 보호 하에 양나라의 후계로 건국
수나라에 의해 멸망
건국 배경양나라의 혼란과 분열
멸망 원인수나라의 통일 정책
기타
위치 정보북주, 북제, 진나라와 인접
지리적 위치중국

2. 역사

양 말기인 5세기 중엽, 후경의 난으로 인해 국내는 혼란 상태에 빠졌다. 후경은 552년 4월에 살해되었고, 소역(원제)이 양의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지만, 양의 황족들 간의 대립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무제의 손자 중 한 명인 소찰은 숙부인 원제와 대립하여 살아남기 위해 서위에 원군을 요청했고, 보호라는 명목으로 실질적으로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 후 원제는 북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서위는 이에 대항하여 강남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찰에게 양왕을 칭하게 한 후(550년) 양을 침공하여, 554년 강릉에 있던 원제를 전사시켰다. 강릉을 장악한 서위는 소찰을 새로운 양의 황제(선제)로 즉위시켰다.

이렇게 탄생한 국가가 후량이다. 다만, 원래의 양 또한 북제의 지원 하에 존속했기 때문에, 후량의 성립으로 인해 양은 둘로 분열된 셈이 된다. 그러나, 후량은 실질적으로 서위의 괴뢰 정권이었으며, 또한 그들이 지배하에 둔 곳은 강릉 주변의 극히 일부 지역에 지나지 않았다.

북제는 양에 대해 자신들의 지배하에 있던 소연명 (무제의 조카)을 보내 영토의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그 직후 원제의 아들인 경제를 즉위시켰다. 그 후, 경제는 진의 무제가 된 진패선에 의해 퇴위당하고, 양은 멸망한다.

한편, 후량은 서위, 그 뒤를 이은 북주, 더 나아가 수에 이르기까지 괴뢰 정권이면서도 명맥을 유지했다. 이 이유 중 하나는 서위와 북주에게 진은 찬탈 정권에 지나지 않았고, 자신들의 배하에 있는 후량이야말로 양의 정통 정권이라고 주장함으로써, 강남으로 세력을 뻗치려는 시도를 정당화하는 이유가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후량은 양조의 융성한 문화를 계승했으며, 괴뢰 정권임에도 불구하고 그 성하에는 높은 문화가 꽃피었고, 후세에 그 문화를 전하는 역할을 했다고도 할 수 있다.

남북조 통일 직전인 587년, 수의 문제에 의해 후량은 폐지되었다.[1]

남조 진의 멸망 후인 589년, 진의 동양주 자사 소엄과 오주 자사 소환이 주로 추대되어 수에 항거했지만, 소엄은 후량의 선제 소찰의 다섯째 아들이었고, 소환은 명제 소괴의 셋째 아들이었다.[1] 또한, 수의 양제의 황후인 양민소황후는 소괴의 딸이었으며, 수 말에 파릉에서 거병하여 양의 황제를 칭했던 소선은 소엄의 손자였다. 더 나아가, 당의 상서 좌복야에 오른 소우는 소괴의 아들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후량 멸망 후에도 소씨가 높은 명망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2. 1. 건국 배경

양나라의 황족인 소찰후경의 난 직후, 각지의 황족들이 서로 대립하던 중에 소역과 대립하였고, 살아남기 위해 서위에게 원군을 요청해 보호를 받는다는 명목하에 실질적인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 후 소역은 북제와 긴밀한 관계가 되었기 때문에 서위는 이에 대항하고, 강남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550년 소찰을 양으로 삼았다. 이후 즉위하여 원제(元帝)가 된 소역과 서위는 대립끝에 554년 서위의 군대가 강릉에 있던 원제의 정권을 공격해 멸망시키고, 소찰을 양나라의 황제에 즉위시켰다. 이것이 후량의 탄생이었다.

그러나 후량이 지배한 영역은 강릉 주변의 일부 지역 뿐이었기에 실제론 서위의 제후 정권의 성격이 강했다. 한편 북제는 스스로 지배하에 들어온 소연명을 돌려보내 양나라를 계승시키고, 이를 실효있게 지배했다. 소연명은 이후 경제(敬帝)로 즉위했다.

그 후 경제는 의 무제(武帝)가 되는 진패선에 의해 퇴위당하고 양나라는 멸망한다. 한편 후량은 서위를 대신한 북주, 그리고 이를 대신한 수나라 때까지 명맥을 유지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서위나 북주에 있어서 진나라가 양나라로부터 제위를 찬탈한 정권이기에 자신의 휘하에 있는 후량이야말로 정통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과 이것으로 강남에 대한 세력을 넓히는 것을 시도할 때 정당화할 수 있는 이유로써 꼽을 수 있었다.

2. 2. 서위, 북주의 괴뢰 정권

양나라의 황족 소찰후경의 난 직후, 각지의 황족들이 서로 대립하던 중에 소역과 대립하였고, 살아남기 위해 서위에 원군을 요청해 보호를 받는다는 명목하에 실질적인 지배하에 들어갔다. 소역은 북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서위는 이에 대항하고, 강남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550년 소찰을 양으로 삼았다. 이후 소역은 즉위하여 원제(元帝)가 되었고 서위와 대립하였다. 554년 서위의 군대가 강릉에 있던 원제의 정권을 공격해 멸망시키고, 소찰을 양나라의 황제에 즉위시켰다. 이것이 후량의 탄생이었다.

그러나 후량이 지배한 영역은 강릉 주변의 일부 지역 뿐이었기에 실제론 서위의 제후 정권의 성격이 강했다. 한편 북제는 스스로 지배하에 들어온 소연명을 돌려보내 양나라를 계승시키고, 이를 실효있게 지배했다. 소연명은 이후 경제(敬帝)로 즉위했다.

그 후 경제는 의 무제(武帝)가 되는 진패선에 의해 퇴위당하고 양나라는 멸망한다. 한편, 후량은 서위를 대신한 북주, 그리고 이를 대신한 수나라 때까지 명맥을 유지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서위나 북주에 있어서 진나라가 양나라로부터 제위를 찬탈한 정권이기에 자신의 휘하에 있는 후량이야말로 정통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과 이것으로 강남에 대한 세력을 넓히는 것을 시도할 때 정당화할 수 있는 이유로써 꼽을 수 있었다.

2. 3. 멸망

587년 의 문제에 의해 후량은 멸망했다.[1] 589년 남조 나라가 멸망한 후, 진의 동(東)양주자사 소암(蕭巖)과 오주자사 소환이 수에 반항했는데, 소암은 소찰의 다섯째 아들이었고, 소환은 소규의 셋째 아들이었다.[1]

2. 4. 멸망 이후

587년 수 문제에 의해 후량은 없어졌다. 남조 나라 멸망 후 589년 진나라의 동(東)양주자사 소암(蕭巖)과 오주자사 소환이 주인을 자처하며 수나라에 반항했는데, 소암은 소찰의 5남이었고, 소환은 명제(明帝) 소규의 3남이었다.

3. 역대 황제

이름묘호시호연호재위 기간
소차 (蕭詧|Xiāo Chá중국어)중종 (中宗|Zhōngzōng중국어)선황제 (宣皇帝)대정 (大定|Dàdìng중국어)555년~562년
소괴 (蕭巋|Xiāo Kuī중국어)세종 (世宗|Shìzōng중국어)효명황제 (孝明皇帝)천보 (天保|Tiānbǎo중국어)562년~585년
소총 (蕭琮|Xiāo Cóng중국어)없음효정황제 (孝靖皇帝)광운 (廣運|Guǎngyùn중국어)585년~587년



후량의 황제로는 선제(재위 555년 ~ 562년), 명제(재위 562년 ~ 585년), 후주/효정제(재위 585년 ~ 587년)가 있었다.

3. 1. 1대 황제: 선제 소찰 (재위 555년 ~ 562년)

소찰(555년 ~ 562년)은 후량의 초대 황제이다. 묘호는 중종(中宗), 시호는 선황제(宣皇帝)이며, 연호는 대정(大定|Dàdìng중국어)이다.

이름묘호시호연호재위 기간
소찰중종선황제대정555년 ~ 562년


3. 2. 2대 황제: 명제 소규 (재위 562년 ~ 585년)

蕭巋|소규중국어후량의 세종(世宗) 효명황제(孝明皇帝)로, 연호는 천보(天保)였다. 562년부터 585년까지 재위하였다.

이름묘호시호연호재위 기간
蕭巋|소규중국어세종(世宗)효명황제(孝明皇帝)천보(天保)562년 ~ 585년


3. 3. 3대 황제: 효정제 소종 (재위 585년 ~ 587년)

소총(蕭琮|소총중국어)은 효정황제(孝靖皇帝)로 불렸으며 연호는 광운(廣運|광운중국어)을 사용하였다. 585년부터 587년까지 재위하였다.

이름묘호시호연호재위 기간
소총 (蕭琮|소총중국어)없음효정황제 (孝靖皇帝)광운([廣運|광운중국어])585년 ~ 587년


4. 연호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
[2] 서적 중국 고대 왕조와 정권 명칭·호칭 근원 탐구(中國古代王朝和政權名號探源) 화중사범대학출판사(華中師範大學出版社) 2000-11
[3] 서적 吉川忠夫「後梁春秋 ある傀儡王朝の記録」(中公新書357『侯景の乱始末記』(1974年)に収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